본문 바로가기
차트분석 매매전략

한미반도체 매매전략

by 머니러쉬 2023. 3. 25.
반응형

한미반도체 기업개요

1980년 설립 후 제조용 장비의 개발 및 출시를 시작함. 최첨단 자동화장비에 이르기까지 반도체 생산장비의 일괄 생산라인을 갖추고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함. 고객사의 투자가 증가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으며 EMI Shield 장비 부문에서도 한미반도체의 장비가 세계 점유율 1위를 기록하며 회사 가치 성장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 동사의 주력장비인 'VISION PLACEMENT'는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굳건히 지키고 있음.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 감소, 영업이익은 12.3% 증가, 당기순이익은 27.4% 증가. 매출이 감소하였음에도 원가를 20% 이상 절감함에 따라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은 크게 증가함. 2022년 9월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웨이퍼링 또는 테이프에 부착된 웨이퍼를 절단하는 '마이크로 쏘 W' 개발을 통해 웨이퍼 Saw 분야까지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음. - 키움증권 -

뉴스 및 이슈사항은 한미반도체와 곽동신 부회장이 반도체 전공정 장비기업 에이치피에스피(HPSP) 투자를 통해 대규모 평가 차익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장초반 삼성전자를 비롯한 반도체주가 코스피 약세 속에서도 상승을 기록하고 있다. 전날 뉴욕증시에서 업황 바닥에 대한 기대감으로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상승,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상승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가 용인에 300 조 원 규모의 시스템반도체 투자를 결정한 것과 관련해 파운드리의 중장기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란 분석 등이 있고 예전 뉴스 및 이슈사항은 대만 난야(NANYA) 인쇄회로기판(PCB) 업체와 33억 7044만 원 규모의 반도체 제조용 장비 수주계약을 체결, 반도체 업황 둔화에도 내년 성장 기대감에 상승, 300억 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등이 있었다. 요즘 가장 큰 뉴스 중 하나인 삼성전자 용인 투자에 대한 것에 어느 정도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한미반도체 일봉 차트

 

한미반도체 차트분석

초창기부터 차트를 보면 우상향 차트이고 최근 4~5년 전부터 급격히 주가가 오른 모습을 보인다. 중기 하락 중 11000원 부근에서 지지를 받으며 박스권 형성 후 단기 상승 추세로 변화여 전 거래일에는 전고점 돌파를 시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전고점이 돌파된다면 신고가이기에 추가 상승의 모습도 예상된다. 

 

한미반도체 매매전략 (단기)

1. 다음 거래일 주가가 20675원 돌파 시 일정 비율 매수 후 스탑로스 손절가 20600원 설정 후 대응한다. 주가가 상승하면 현재가와 일정 거리를 두면서 손절가를 올려주고, 주가가 하락하면 손절 후 재차 돌파 시 다시 처음처럼 매수 진행한다. 2. 다음 거래일 주가가 20000원 밑에서 시작하고 거래량도 별로 없다면 며칠 주가를 지켜보고 추후 다시 전고점 돌파 시도 한다면 1번처럼 대응하고 주가가 계속 하락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14000원 또는 11000원 근처에서 주가가 멈추거나 반등이 나오는 모습을 확인 후 일별로 소량씩 매수 진행하고 내가 감내할 수 있는 선에서 스탑로스 손절가 설정 후 대응한다.

 

한미반도체 매매전략 (중장기)

우선은 단기 매매로 접근하여 대응하고 추후 주가가 하락하여 11000원 근처나 그 밑으로 형성 된다면 중장기로 접근한다. 11000원 근처에 주가 형성 시 일별로 소량씩 매수 진행한다. 중장기 매매이기에 기간은 최대한 길게 잡아주고 상승이나 하락이 내가 원하는 시기에 나와주는 것이 아니기에 주가가 하락하거나 상승해도 일별로 소량씩 분할 매수 진행 하면서 종목당 투입 예정인 비중의 50프로(내가 감내할 수 있는 정도의 수준) 이상 매수 했다면 그 이후부터 RSI 지표 보며 대응한다. RSI 수치 70 이하에서 일별로 소량씩 매수하며 RSI 수치 70 이상에서 일정 비율로 매도하고 다시 수치 70 이하부터 일별로 소량씩 매수 진행한다. 보조지표는 항상 틀릴 수 있기에 한 번에 많은 양을 매수하지는 말고 일정 비율로 소량씩 매수해야 오래 대응해서 수익으로 만들 수 있는 확률이 커진다는 것을 명심하자. 균형을 잡아감에 있어 급등이 나오면 전량 매도도 염두하며 매매한다. 손절가 설정 시 초기에 전저점 또는 내가 감내할 수 있는 정도로 잡아주고 그 이후에는 균형을 잡아감에 따라 수시로 평단이 변하기 때문에 그에 맞게 유동적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RSI 수치 70 이상에서 주가가 추가 상승할 것 같아도 필히 소량이라도 매도를 해주어야 한다. 주가가 추가 상승할 것 같아서 매도를 안 해주면 그 예상이 틀렸을 때의 리스크는 내게로 돌아와서 큰 부담이 되기 때문이다. 

 

단기 매매에 있어 비중 있게 매수를 진행하면 필히 스탑로스 기능으로 자동 손절가를 설정하고 진행하자.

중장기적 매매 접근 시 항상 종목별 비중을 조절하며 균형 잡는 매매를 진행해야 한다. 균형 잡는 매매란 쉽게 설명하면 주가 하락의 힘이 느려지거나 멈추면 분할로 매수하고 상승의 힘이 느려지거나 멈추면 분할로 매도를 해야 하며 거래량을 동반한 장대양봉이 나오면 일부 비중으로 불타기를 매수를 하고 거래량을 동반하여 장대음봉이 나오면 일부 비중을 손절하기도 해야 한다.

투자를 함에 있어 종목에 대한 분석 후 전체적인 전략을 어느 정도는 미리 작성하여 그것을 토대로 매매를 진행한다.

투자는 누가 시키거나 등 떠밀어하는 것이 아니라 본인의 의지에 의하여하기 때문에 그 결과물이 마이너스 일지라고 자기 자신의 책임이라는 것을 항상 명심한다. 본 블로그 내용은 본인이 사용 및 능력 향상을 위해 작성 한 내용이다.

728x90
반응형

'차트분석 매매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반도체 매매전략  (0) 2023.03.29
지아이텍 매매전략  (0) 2023.03.28
펨트론 매매전략  (0) 2023.03.20
하나마이크론 매매전략  (0) 2023.03.18
레이크머티리얼즈 매매전략  (2) 2023.03.16

댓글